Design Story(181)
-
CES 2020 : 휴대용 전자제품 _2 CMF
글. Editor Y 지난 CES2020 : 휴대용 전자제품 PART1 IDEAS 포스팅에서 언급된 휴대용 전자제품 CM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컬러를 비롯한 소재와 마감은 디자인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제품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중요 요소이다. CES2020에서 등장한 기기와 콘텐츠들은 지금껏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미래 기술의 집약체로 점차 라이프 스타일의 일부가 되어감을 보여주듯 첨단 하이테크 이미지보다는 일상적이고 친숙한 컬러와 자연에 기인한 마감이 선호되고 있다. 인류와 공존을 위한 ‘지속 가능성’ 최근 주변 환경이 주는 공포 속 등장한 ‘지속 가능성’이라는 사회적 패러다임은 우리 삶 속에 필수가 되었다. CES2020에도 '지속 가능성'은 주요 이슈 중 하나가 되어 이를 실천할 수 있는..
2020.04.01 -
CES 2020 : 휴대용 전자제품_1 Ideas
글. Editor Y AI Sapiens ,신(新)인류를 말하다 - 2020 Review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2020의 주요 키워드는 디스플레이·AI·스마트홈·스마트카·로봇·웨어러블, 그리고 보안과 안전성까지 보장된 컨텐츠의 등장이었다. 지난 2019년 전시와 크게 달라진 점은 사용자 중심의 AI를 기반으로 '어느 기업이, 얼마나 더 많은 소비자에게 매력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 했는가' 였다. 이는 곧 '신제품 개발이 허황된 기술로 고객을 현혹하던 시대는 종결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이번 KCC 디자인 블로그 'CES 2020 : Personal Electronics_1 Ideas'에서는 앞서 언급한 주요 트렌드 중 휴대용 전자제품 및 관련 컨텐츠 중심으로 다루어..
2020.03.30 -
CES 2020 : 빅 아이디어
글. Editor M 매년 우리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CES 박람회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IT관련 기술의 박람회 혹은 전시회 CES에 우리가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올해 4,400 기업, 1억 7천여명이 참석한 전시회에 왜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는 것일까? Customer Electronic Show의 약자로 구성된 CES는 1967년 뉴욕에서 소비자 가전 제품을 소개하는 쇼의 형식으로 시작되었으나, 최근 다양한 소비 및 산업 트렌드를 아우르는 테크 쇼 겸 산업 관계자들의 ‘정보 교류의 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기업들은 끊임없는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그것을 사회에 적용하기 위한 활동을 멈추지 않는 것이다. 스마트 폰이 바꾸어 놓은 우리의 일상은 '포노사..
2020.03.23 -
KCC Trend News [2019.06_ Global Economic]
“힘들다.”란 말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지금, “경기 회복”이라는 단어가 다소 낯설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살아온 부모 세대보다 가난한 세대라 불리우는 우리에게, 매일 들려오는 우울한 사회, 경제 소식은 삶에 대한 희망마저 잊게 만들고 있는데요. 2017년 시작된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더하며, 다소 나아질 것으로 여겨진 경제 상황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최악의 상황을 피하고자 각국 정상까지 참석하며 진행된 무역 협상은 올해 5월까지 이어지게 되었는데요. 두 경제 대국의 상호 합의로 끝날거 같았던 5월 회담 결과는 미국의 중국제품 25% 관세부과 결정과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마무리 되고 말았습니다. 두 국가중 어느 국가가 승자로 기억될 지 아무도 예상할 수 는 없지만,..
2019.05.31 -
플라스틱의 운명2_플라스틱의 수명을 늘려라!
불가피하게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면, 플라스틱의 수명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자재로 사용하여 완전히 다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거나 제품 자체를 일회용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제품이나 서비스로 리디자인 하는 것이다. 폐기물이 원재료로 작년 19/20 KCC CMF와 인테리어 트렌드세미나에서도 언급했던 사례들이 좋은 예이다. Brodie Neill의 Ocean Terazzo는 유리나 플라스틱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을 테라조의 원료로 하여 테이블을 디자인 했다. 테라조는 돌 조각 외에도 플라스틱 조각이나 나무 조각 등 다양한 재활용 소재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디자이너들에게 각광받는 추세다. 어린이용 업사이클리가구 브랜드 에코버디는 기증된 아이들의 장난감..
2019.05.31 -
플라스틱의 운명1_쓰레기가 남지않도록 하라
Editor. H 2018년은 중국의 폐자재 수입 중단이라는 결정으로 인해 플라스틱 쓰레기 오염실태와 남용문제에 대해 전국민이 현실을 직시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지난 해 플라스틱을 대체할 소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디자인계에서도 큰 이슈가 되었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중도를 찾는 것 처럼 사람들은 과잉생산과 과잉소비에 염증을 느끼고, 이제 '소비의 수도꼭지를 잠글 때'라고 인식하는 듯 하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인식의 변화는 집단 운동으로 펼쳐지고, 이는 기업의 자발적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2018년 전후로 한국이나 미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도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규제하는 법안을 실행하기 시작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쓰레기 문제로 가장 뜨거운 감자인 '플라스틱'의 근미래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쓰레기..
20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