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  Design Blog

KCC  Design Blog

  • 전체글 (294)
    • KCC Design (19)
      • About (3)
      • KCC's Color (7)
      • KCC's Product (8)
    • Design Story (151)
      • Influence (45)
      • Home Appliance (15)
      • Mobility (34)
      • Lifestyle & Interior (28)
      • Exhibition Review (27)
    • Trendpulse (93)
      • CMF (43)
      • Interior (49)
      • TrendPulse(Online) (0)
    • A.C.T Exterior (22)
      • Exterior (22)
  • About
  • Design Story
  • Design Trend
  • KCC
  • HOMECC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KCC  Design Blog

컨텐츠 검색

태그

자율주행 interior 2020 TrendPulse CES 트렌드 코로나 CMF 컬러트렌드 인테리어 재택근무 KCC 전기차 trend 디자인 컬러 DESIGN color 공간 지속가능성

최근글

  • 2022 Colorbank 09 _ Deep &⋯
  • 2022 Colorbank 08 _ Accent
  • 2022 Colorbank 07 _ Core Sp⋯
  • 2022 Colorbank 06 _ Public

댓글

  • [승인대기]
  • [승인대기]
  • [승인대기]
  • 안녕하세요. 요약본 발송 해드리겠습니⋯

공지사항

아카이브

  • 2022/07
  • 2022/06
  • 2022/05
  • 2022/04
  • 2022/03
2022 Colorbank 09 _ Deep & Dark

Black을 베이스로 무게감이 느껴지는 저체도 컬러들로 작은 면적에 사용해도 Chic 하고 도시적인 인상을 주는 컬러 그룹입니다.

자세히보기
2022 Colorbank 08 _ Accent

높은 채도의 선명한 컬러들로 생동감과 에너지가 느껴지는 컬러 그룹입니다.

자세히보기
2022 Colorbank 07 _ Core Spectrum

입체적인 색상환에서 추출한 중간 색조의 조화롭고 풍부하게 그라데이션되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컬러 그룹입니다.

자세히보기

  • 요즘 자동차, 심리스가 대세?

    "SEAMLESS DESIGN" Seamless Design, 이음새가 없다는 의미로 분리되지 않은 형체와 일체형 디자인을 일컫는 말이다. 또한 끊김 없는 연결성이라는 심리스 컨넥션( Connection Seamless ) 이란 용어만 봐도 알 수 있듯, 각종 기능의 작동 또는 각 기능과 탑승자 간의 연결이 매끄럽다고 할 때도 쓰인다. 즉, 차 안에서의 탑승 경험을 윤택하게 만들어주는 기술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다. 때문에 많은 자동차 브랜드가 공간 내..

    2022.07.05 14:29
  • 2022 밀라노가구박람회 <Salone del Mobile>

    이번 포스트를 통해 KCC 컬러디자인센터에서는 지난 6월 밀라노 디자인 위크 기간에 열린 Salone del Mobile ( 살롱 델 모빌레 / 밀라노 국제 가구 박람회) 전시 리뷰를 하고자 한다. 올해 60번째를 맞이한 살롱 드 모빌레는 팬데믹 이후 재개된 전시로, 약 2,175여 개의 브랜드와 약 26만명의 관람객들이 참관했다. 지난 3년의 공백 동안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큰 변화가 생긴 만큼 인류학과 디자인을 결합한 인류학적..

    2022.07.05 10:02

  • 2021 인테리어 트렌드_ 1 LAYERED

     Editor. S 2021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로 인한 변곡점 [INFLECTION] 에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 01. 공간 역할의 변화 02. 감정의 변화 03. 시선의 변화 를 각 테마의 주요 배경으로 선정하고 그에따른 공간 스타일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보겠다.   경험의 공간이 집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며 주거공간은 이제 안식처 그 이상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집’의 모습이 점점 더 다..

  • 2021 인테리어 트렌드_3 MULTI-CULTURAL

    E.ditor S 2021 인테리어 트렌드 그 마지막 이야기는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물리적 변화가 만든 '색다른 시각'에 대한 내용이다. COVID- 19, 코로나 바이러스가 불러온 가장 큰 파장 중 하나는 바로 이동제한이었다. 지역과 지역간 그리고 국가 간 이동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전보다 이동을 자제하고 또 새로운 도전에 주춤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변화가 또 다른 기회를 가져다 주기도 했다. 밖이 아닌..

  • 2021 인테리어 트렌드_2 SPATIAL VACCINE

    Editor.S 이미 오래전부터 언급되어왔던 현대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이슈는 코로나 팬데믹이 휩쓸고 간 2020년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선 두번째 테마, SPATIAL VACCINE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우리의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더 나아가 인간의 감정에 관한 이슈가 공간 디자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예상치 못한 바이러스의 장기화는 우리 내면의 감성을 건드..

  • 21/22 Exterior Color Trend #01. On Balance

    Editor. H KCC 2021 트렌드세미나 익스테리어 파트에서는 사회 전반의 트렌드를 바탕으로 국내 익스테리어 트렌드 컬러를 분석하고, 테마별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엄선된 컬러를 제안한다. 올해 테마는 #On Balance  #Star on Treetop #Back to the Future 의 세가지이다. 첫번째 테마 On Balance 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Trend Background 첫번째 테마의 백그라운드는, 우리가 집을 보는 기준에 대한..

  • 컬러 유니버설디자인 주차장 안전사인 배색 연구

    Editor. J 컬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안전사인 배색 연구 A Study on the Color Scheme of Safety Sign For Underground Parking Lots in Apar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1. Introduction / 연구배경 및 목적 컬러유니버설디자인 2017 통계청 국민건강영양조사 . 안질환검사결과  국내 색약자는 전체인구의 3.3%, 실제는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인뿐 아니..

  • 2021 trendpulse. CMF 트렌드 _ 의식적 낙관주의(Conscious Optimism)

    Editor. Y  지난해부터 이어진 인포데믹(Infodemic:잘못된 정보나 루머 등이 빠르게 확산하는 현상)은 다양한 관계망을 통해 사회 전반에 공포와 두려움, 분노로 일그러진 세계를 조장한다. 검증되지 않은 거짓 루머로 넘쳐난 가짜 뉴스는 우리를 혼란스럽게 했다. 위험과 부정적 사고에 더 극단적 형태로 인식하도록 설계된 인간의 사고 회로가 무의식 및 직관적 판단을 통해 우선적 반응하며 더 크게 다가오도록 하는 것이..

  • 2021 Trendpulse. CMF 트렌드 프롤로그_CMF Trend Prologue

    Editor. Y " 무수한 특이점을 거친 인류 " 하나의 흑점이 빅뱅을 통해 우주로 탄생함을 가리키는 '특이점(Singularity)'이란 표준 과학론은 무수한 전쟁과 기후 변화 등을 거쳐 생성된 역사적 근거로 인식되기도 한다. 다양한 연유로 흩어진 문명의 조각들을 재건하며 부활하기 시작한 인류의 이야기는 '산업혁명'이라는 명목 하에 무분별한 개발을 일삼기 시작했고 현재까지도 그것을 당연한 발전과 성장의 과정으로 여겨왔다..

  • 2022 TrendPulse - [Interior] CMF 트렌드 테마 제안1

    코로나 19 이후 상업공간의 위기를 비롯해 공간 생태계의 불균형이 대두되며 우리는 상업, 주거공간의 달라진 역할에 주목했다. 현재 상업공간의 비중은 코로나 이후 최저치를 찍으며 리테일 공간의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서, 반대로 주거공간은 스마트홈, 홈코노미 등 더 많은 사회적 활동과 역할을 담아내기 위한 발전을 도모하며 이를 증명했다. 이러한 상황 속,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켜야 할 시점임과 동시..

KCC 유튜브
© 2021 KC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