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Story(177)
-
Lifestyle ⎮ 포스트 코로나, 근무형태 딕셔너리
글. Editor J 자가격리, 비대면 혹은 언택트(untact), 재택근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발생 후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요즘의 일상어들이다. 세계보건기구 WHO가 코로나19를 최고 경고 등급 팬데믹(pandemic) 으로 선언하였고 우리의 일상은 달라졌다. 전 세계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코로나19 이후의 삶은 그 이전의 삶과 같을 수 없다고 한다. 기존과는 다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새로운 기준인 뉴노멀(new normal)이 생겨날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업무 환경 또한 마찬가지이다.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비대면 업무를 중심으로 근무 형태에 변화를 꾀하고 있다. 재택근무, 리모트워크, 스마트워크, 디지털 노마드 등등 무수한 이름으..
2020.06.08 -
Wellness in 2020
글. Editor M ‘건강’이 코로나 시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소위 나이든 사람들만의 관심사로 치부되었던 ‘건강’이 전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남녀 노소를 아우르는 주요 사회 이슈로 부각된 것이다. 과거와 다르게 최근 등장한 건강의 의미는 단순히 오래살고, 젊은 모습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신체적, 정신적으로 조화를 이룬 넓은 의미의 ‘건강’을 의미하고 있다. 2020 Trendpulse ‘Live in comfort’에서 언급되었던 것처럼 사회 환경과 내적 부조화로 인해 지친 사람들은 이제 자신의 행복을 찾기 위한 첫 단계로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커피보다는 차를 선택하고 술과 담배를 멀리하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스트레스를 ..
2020.06.08 -
요즘, 그린이 그렇게 핫하다고?
Editor. H 2010년 초반, 한 때 화이트, 블랙, 실버, 메탈릭 컬러가 온 제품을 뒤덮던 시절이 있었다. 바로 스마트폰이 보편화되기 시작한 아이폰의 시대다. 바야흐로 2020년, 전과 달리 사람들은 모든 분야에서 컬러에 더 관대해졌다. 우리는 그 가장 큰 이유로 모바일 라이프의 일상화를 꼽는다. 스크린을 통해서 이전보다 일상에서 컬러를 접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시각적인 강렬함에 익숙해지고, 오히려 그런 자극을 찾는다. 수 년간 컬러 트렌드를 주시해 오면서, 최근 그 정점을 찍은 그린 컬러의 다양한 사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016, GUCCI 2016 SS 컬렉션 그린이라 하면, 에코나 친환경을 떠올렸던 과거에 비하여, 그린을 재조명하고 새로운 스토리를 입힌 패션 브랜드가 있었으니, 알..
2020.05.28 -
Corona19 Virus _ 홈족
글. Editor M 코로나 바이러스가 몰고온 일상의 공포로 집밖으로 나가는 것을 꺼리고, 집안 생활을 즐기는 자발적, 비자발적 홈족(홈버디-home buddy)이 증가하고 있다. 집밖으로 나가지 않는 은둔형 외톨이, 일본의 히키코 모리와 누에고치처럼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사는 미국 코쿤족 뿐 아니라, 혼자 코인 노래방을 즐기는 혼코노와 집콕족처럼 혼자 지내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단어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많은 어른 세대들은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고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 젊은 세대에게 걱정어린 시선을 보내지만 ‘혼자’는 젊은 사람들( MZ세대)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삶의 모습 중 하나일 뿐이다 혼자 사는 사람이 증가추세에 있는 것은 사회 심리적 이유도 크게 작용하지만 혼자서도 삶을 즐기며 살..
2020.05.15 -
레저의 재발견_ 디바이스 CMF
글. Editor Y 고립된 자유와 희망의 공존 2020년, 전 세계는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Pandemic)을 계기로 라이프스타일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초반엔 모든 것이 불확실한 상황에 여가와 레저 등 삶의 선순환을 위한 활동 자제가 스트레스로 증폭되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모두 한마음으로 언택트(Untact) 문화와 더불어 건강한 내일을 희망하며 자체 콘텐츠를 즐기는 이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과거보다 증가한 홈족의 ‘애슬레저(Athleisure) 룩 ’, 아웃도어족의 ‘언택트 트래킹(Untact tracking) 룩’까지 다양한 수요로 확산되는 가운데 개인에게 특화된 아이템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이번 글을 통해 다뤄질 홈 트레이닝과 관련된 패션과 가전, 야외에서 개인의 개..
2020.05.12 -
Corona19 Virus_언택트 문화
글. Editor M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 삶이 변화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이제 여러 매체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다.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지금의 상황이 장기화되며 우리를 둘러싼 수 많은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각 개인은 물론 기업과 사회에 새로운 삶의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가장 큰 변화는 비대면, 언택트(untact)의 확산이다. ‘퍼스널 스페이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개인의 심리적 배려이자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를 알려주는 개인의 심리적 지표로 미국 인류학자 에드워드 T홀이 이론적으로 정리한, 사람 사이의 관계를 알려주는 이 단어에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고자 몇몇 국가에서는 국경을 폐쇄하고 외출 금지령 시행하여 사람들 간..
20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