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Story(177)
-
GenZ_2 놀랍도록 현실적인 애어른
Editor. H 놀랍도록 현실적인 애어른 앞서 살펴본바와 같이 이들은 IMF, 2008 미국발 경제위기에 흔들리는 부모세대를 보면서, 미래는 불확실하고, 위기는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고, 기회의 운동장이 모두에게 공평하지 않다는 것도 깨달았다. 그래서 너무나도 어린나이에 세상이 불완전하며 두려운 곳이라는 것을 절감한, 그래서 너무 빨리 철들어버린 세대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들은 과거의 10대보다 훨씬 성숙한 행동패턴을 보인다. 일탈과 방황이 많지 않고, 오히려 부모를 논리적으로 설득한다. 예를들면, “비싼 돈 들여 대학 졸업해도 대기업에 들어가리란 보장도 없고, 그렇게 월급받아도 한계가 있으니, 차라리 그 돈을 다 지금의 나에게 전부 투자하세요.” 같은 말이다. “잘 사는데 필요한건 열정, 노력, 인..
2019.05.02 -
Gen Z_1 밀레니얼과는 뭔가 다른 Z세대
Editor.H 2019년 주요 화두로 떠오를 개념 ‘오래된 영혼이 젊은 몸에 깃들어있다’ 가장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으면서도 저성장의 덫에 갇혀버린 ‘역설적 세대’ '이들은 당신의 계획을 앞질러 소통하고, 가르치기에는 너무 빨리 배우며, 뭔가를 만들기도 전에 소비한다.' Z세대라는 파도에 대항하는 것은 쓰나미에 대항하는 것과 같다 ’밀레니얼’이라는 세대를 연구하고 적응하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벌써 그 다음 세대인 ‘Z세대’라는 화두가 던져졌다. 지금까지 ‘어린 밀레니얼’로 여겨졌으나, ‘겪어보니 다르다. 그것도 아주 많이 다르다.’ 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최근 관련 전문가들의 주요 연구대상이 되기 시작했는데, 이들 중 대다수가 중고등학생이고 이들 중 일부가 이제 막 사회진출을 하기 시작했기 ..
2019.05.02 -
KCC Trend News [2019.04_인구절벽]
우리나라의 저출산, 인구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닙니다. 두사람이 만나 결혼을 하고, 두명의 아이를 낳아야 지금의 인구수가 유지되지만, 지금 우리의 합계 출산률은(여성 한 사람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아이 수)은 0.98명(2018년 기준) 지금의 인구를 유지하는 것만도 벅차게 느껴지는데요. 수년간 계속되고 있는 사회 경제적 불안은, 젊은 사람들에게 결혼이 개인의 인생에서 필수가 아닌 선택상황으로 만들어 주었습니다. 70년대 적극적인 산아 제한정책으로, 1980년을 기점으로 우리의 출산률은 급격하게 떨어지며,85년부터 인구 감소국가에 합류하게 된 우리나라는 올해부터 인구 자연감소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출산률 저하와, 고령 인구 증가가 지금 당장 나에게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많은 학자들과 정책기..
2019.04.22 -
KCC Trend News [2019.04_미세먼지]
아침에 일어나서 우리가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아마도 그날의 날씨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우리 일상에도 변화가 찾아 왔는데요. 아침에 일어나면 각종 앱을 통해 그날의 날씨와 함께 미먼(미세먼지)수치를 확인하며, 마스크를 챙기는 것은 우리의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매일 아침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라는 말이 더이상 새롭지 않게 느껴지는 지금 공기 상태는 우리 아이들에 대한 걱정을 떨칠 수 없게 만드는데요. 가뜩이나 야외 활동시간이 부족한 우리 아이들에게 미세먼지 안좋은 날이 점차 증가하는 최근의 공기질은 우리 마음을 아프게 하는데요. 공기질이 안좋아, 아이들을 위해 해외 이민을 고려하거나 제주도, 괌, 캐나다 등 공기 좋은 곳에서 “한달살기”를 계획하는 사람들의 증가는 안타까운 현실을 반영하고 ..
2019.04.09 -
KCC Trend News [2019.03_주간 동향]
우리 사회 주축이라 할 수 있는 30~40대 청년층의 체감 실업률을 의미하는 청년 고용보조지표가 24.4%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인 취업률은 개선되었지만 청년층이 체감하는 고용시장 훈풍은 아직 멀게만 느껴지는데요. 청년층의 취업이 활발한 건설업과 조선업,서비스업 등의 일자리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며, 자연스럽게 국가 생산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청년 고용률 저하를 초래하였습니다. 어려운 취업상황과 맞물려 불안감을 가중시키는 지금의 경제상황은 사람들에게 안정적인 자산 중 하나인 부동산, 집에 관심을 가지게 하였는데요. 사람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상승한 집값은 지역적으로 심각한 불균형을 유발하며, 그 편차를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이제는 어느 지역에, 어떤 집을 소유했는지에 따라, 개..
2019.03.22 -
쾰른 국제 가구박람회 [imm Cologne 2019] _ Design Analysis
imm cologne 2019, 쾰른 국제 가구 박람회를 C.M.F 관점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019년 쾰른 국제 가구 박람회를 통해 발견된 주요 컬러는 Gray, Terracotta, Moss Green 입니다. 인테리어에서 중요한 핵심 컬러가 된 그레이가 웜톤에서 쿨톤까지 그 활용 범위가 확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톤의 톤온톤의 배색이 세련되게 표현되어, 그레이 컬러의 깊이를 보여주는 전시 공간이 다수 눈에 띄였습니다. 매트한 질감에서 느껴지는 포근한 감성과 차갑지만 도시적인 감성을 상징화한 다크 그레이 컬러가 공간의 매력을 더합니다. 그레이를 기본으로 하는 세련된 배색은 도시적이고, 미니멀한 인테리어를 선호하는 분들에게 꾸준히 선택받고 있는 컬러로 소재와 디자인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2019.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