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Story(177)
-
Interior ⎮ 슬기로운 홈오피스 구성법
글. Editor J 지난 글 포스트 코로나, 근무형태 딕셔너리 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으로 인해 재택근무자의 수가 급증하며 라이프스타일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워라벨(work and life balance)을 위해 일과 개인 생활을 철저히 분리하고자 했던 이들의 노력이 무색해질 정도로 갑자기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에서 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재택근무를 하느냐, 하지 않느냐를 떠나서 집에서도 일을 할 수 있는 업무 공간을 구성해 두는 것이 일종의 디폴트(default)가 되어 가고 있다. 사실 집 안의 업무 공간은 특별하지 않아도 된다. 식탁에 랩탑이나 태블릿PC 하나 올려놓고, 커피 한 잔 마시면서 일을 하면 그 공간은 순간 주방이 아니라 꽤나 만족..
2020.06.26 -
내나이가 어때서?_Active Senior
글. Editor M 코로나 이전 우리사회 가장 큰 논쟁 중 하나는‘세대’였다. 인류 역사를 통틀어 이전에 볼수 없었던 MZ 세대(Millenial, Z세대)가 사회에 첫발을 내딛으며 세대간의 논쟁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서로를 잘 알지 못했던 상황 속에 등장한 MZ세대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와 책들은 아직 진행중인 세대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사회 트렌드가 젊은 MZ세대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시니어 세대는 사회 주요 흐름에서 자연스럽게 소외될 수 밖에 없었다. 삶의 성공을 위해 젊음을 헌납한 그들이 나이들며 하나, 둘 자연스럽게 은퇴하며 정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은 과거부터 흔히 볼수 있는 사회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최근 우리 고정관념을 깨뜨린 낯선 시니어의 모습이 사회 곳곳에 ..
2020.06.25 -
자동차 도료, 총천연색 욕망에서 첨단기술의 갑옷으로
(본 포스팅은 '시대를 반영하는 자동차 컬러 이야기' 2014.7.10 의 포스팅을 2개의 글로 수정 보완한 글입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승전국인 미국에 경제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시대가 도래하였다. 현대미술의 흐름은 유럽에서 미국으로 넘어왔으며, 문화의 다양성과 자유로움이 인정되었다. 현대미술을 일탈과 파괴를 통해서 새로움과 발상의 전환을 선도하였고, 존 에프 케네디 전 대통령은 미국 자유주의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마릴린 먼로는 미디어의 힘을 입어 대중의 욕망을 대변하는 섹슈얼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 젋은이들은 비틀즈와 같은 아티스트를 통해 평화에 대한 갈망을 드러내고, 기성세대에 대한 반발을 히피문화를 힘입어 표출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미국 자동차 산업도 전례없던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선보..
2020.06.23 -
포드의 초창기 자동차가 블랙이었던 이유
Editor. H (본 포스팅은 '시대를 반영하는 자동차 컬러 이야기' 2014.7.10 의 포스팅을 2개의 글로 수정 보완한 글입니다) 전 인류는 Me Generation을 겪으면서 그 어느 때 보다도 자신의 취향이 중요한 시대에 살고있다. 과거에 자동차는 소유하는 것 만으로도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으나 지금은 '어떤' 자동차를 타는지로 자신을 표현하기도 한다. 운송수단이 패션화된 것이다. 실제로 자동차 구매가 이루어 질 때, 최종 결정 단계에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 컬러라는 것을 아는가? 언제 부터 컬러가 이렇게 중요했던 것일까? 자동차 선호 컬러는 해당 문화권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되짚어보면 당시의 경제상황이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거대한 흐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20.06.23 -
백색가전이 컬러 플렉스 해버렸지 뭐야
글. Editor Y 삶의 패턴이 변화하면서 ‘집’이라는 공간의 가치는 새로움으로 다채로워졌다. 게다가 불과 몇 개월 사이, 그 변화는 현저하다. 기존의 ‘의식주’라는 인간 생활의 기본 요소에서 업무, 모임, 여가 등 다양한 요소를 담고 있는 공간이 된 것이다. 집의 정의가 다양해지면서 공간을 메우는 오브제들 또한 기능은 세분화 되고 디자인은 단순해졌다. 특히 가전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소비자의 성향과 니즈를 반영한 기업 브랜드들의 고군분투가 재미있다. 그래서 오늘은, 업계와 소비자 모두가 주목하고 있는 ‘백색’ 가전에 대한 디자인 CMF를 KCC 도료 컬러와 매칭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주방 위의 팔레트 ’ 최근 가전 업계는 ‘그동안의 백색 가전은 잊혀질 것’이라 입을 모으고 ..
2020.06.17 -
Mindfulness_마음챙김
글. Editor M 긴장과 불안속에 살아가는 우리에게 스트레스 해소는 큰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급격한 사회 변화와 수년간 누적된 사회 불안이 요인이 되는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으로 지적되며 이젠 적극적인 관리와 해소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급자스럽게 변한 변한 삶의 모습과 예측 불가능한 미래에 낙담한 우리는 그로인한 우울감, ‘코로나블루’를 경험하게 되었다. 경기는 바닥으로 치닫고 미래에 대한 예측이 무의미한 시기에 터진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사람들은 심리적 패닉, 멘탈데믹(mentaldemic) 빠지게 된 것이다. 하지만 모든 것이 최악으로 느껴지는 지금 그나마 다행인 것은 사람은 사회적 동물, 적응의 동물이란 점이다. 한순간의 일상을 잃은 사람들은 잠시 방향성을 잃고 혼란에..
202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