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5. 9. 10:30ㆍTrendpulse/Interior
20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파트에서는 개인성과 자율성이 중시되는 사회 속 다양한 유동적 변화들이 공존하는 모습에 대한 이야기로, 총 3가지의 테마를 제안한다. 그 중 이번 포스트에서는 3가지 테마 중 마지막 테마, 섬세한 기술을 담은 Happy Trigger 를 소개한다.
Trigger는 물리적 클릭이나 명령이 없이도 직관적으로 작동하는 환경을 상징하며, Happy는 이러한 환경이 궁극적으로 만들어내는 우리의 감정, 만족과 즐거움들을 의미한다. 일상 속 개인에게 최적화된 미적 요소와 기능적 설계를 담고 있는 고도화된 미래 지향적 공간들을 소개한다.
① Trend Seed
하루가 다르게 쏟아지는 수많은 기술과 정보들, 이들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성을 담은 이번 테마의 트렌드 시드부터 살펴보자.
라이트한 소비자
고민보단 go! 하며 행복을 찾던 소비자들은 여전히 즐거운 경험을 목말라 하지만, 그 농도는 옅어졌다. 성인 ADHD 환자수도 3년 사이 5배나 증가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에 따라 점차 가속화되는 집중력 저하와 부상하는 개인성들 속에서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켜야 하는 디자이너는 앞으로 체류와 사용시간을 높이는 지속성을 고민해야 할 때이다.
일상적 공감지능
우리는 점차 기준이 사라지는 시대에 살고 있다. 마케팅의 가장 기본으로 여져겼던 전통적인 세그먼트의 구분이 희미해지고, 잡식성을 뜻하는 '옴니보어' 가 떠오르며, 점차 시장에서도 분야를 막론한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다양한 첨단 기술들이 자리잡고 있다.
기술로 지워내기
자원 순환에 박차를 가하는 움직임과 더불어, 물리적 제약 없이도 제품 소비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 발전도 인상적이다. 미국에서 절도 문제로 곤욕을 겪었던 현대자동차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도난율을 낮췄고, 가전업계는 사용자에 맞춘 다양한 패밀리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② Design Issue
트렌드 시드에서 나타난 소비자의 변화를 반영한 세번째 테마의 디자인 이슈들을 살펴보자.
#01 Light Tech
작년 밀라노 디자인위크에 참석했다면, 예년에 비해 피로도가 덜하진 않았는가. 스튜디오 롬바르디니가 신경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새롭게 제안한 레이아웃은, 이곳 파빌리온 속 방문자의 발걸음을 절반으로 줄여 그들의 피로까지 덜어내 주었다고 한다.
또, 우리를 둘러싼 전자제품들도 역시 사용 빈도와 의존도가 높은것부터 점점 가벼워지는 추세다. 애플과 삼성은 아이폰과 갤럭시의 고급 플래그십 모델에 나란히 티타늄 소재를 최초로 적용했고, 삼성은 여기에 더불어 워치보다도 더 작은, 2그램짜리 티타늄 갤럭시 링을 발표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02 Hyper Blend
음악에서 강조하는 공기 반 소리 반 처럼, 공간에서의 자연스럽고 은은한 혼합 역시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소재와 구조로부터 시작한다. 올해는 특히 공간 속 소프트월이나 레이어링 커튼이 다양하게 소개되었고, 유리소재에도 구조와 질감에서 변주를 주는 모습이 보인다.
건축가 장누벨이 선보인 리플렉트 캐비닛은 부드러운 반사광을 가진 메탈릭한 스테인리스 마감으로 주변과의 조화를, 삼성의 비스포크에 적용된 미스티 미러 컬러라인들이나, 기존 포르쉐 컬러를 활용한 아너의 미러베리 스마트폰은 소재를 통해 매끄럽게 혼합되는 새로운 기술을 표현한다.
#03 Sensory Synergy
구글은 Making Sense of Color 전시에서 색청각의 결합을 선보였다. 각 색조의 파장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음악과 함께 컬러 빛 패턴이 투사되는 반투명 스크린의 미로구조로 관람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다. 삼성 역시 밀라노 디자인위크에서 파스텔 빛의 컬러플레이로,
사람과 기술 사이의 진화적 관계와 조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눈길을 끌었다.
감성까지 분석해내는 인공지능 조향기계, 레퍼런스 타임즈는우리의 기억과 경험을 포착해 초개인화된 향을 만들어준다. 이렇게 점점 더 발전하고, 개인화되는 기술의 끝은 어디일지 궁금해진다.
지금까지 살펴본 세번째 테마, Happy Trigger 의 디자인 이슈들은 이렇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올해 KCC 컬러디자인센터에서 제안하는 인테리어 트렌드의 세 번째 테마를 소개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이번 테마 소개를 바탕으로, 실제 공간이나 제품에 활용할 수 있는 CMF 제안을 다룰 예정 !
KCC 컬러&디자인센터
컬러 컨설팅 문의 : 02- 3480-537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 Copy or reproduction of this material is strictly prohibited by the copyright law.
© 2025 KCC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KCC의 인사이트로 뽑은 디자인 뉴스레터 💌
뉴스레터 구독하기!
👇 KCC컬러디자인센터 카카오톡 친구 추가 QR코드👇
'Trendpulse > Interi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테마 3 - CMF (0) | 2025.05.09 |
---|---|
[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테마 2 - CMF (0) | 2025.04.01 |
[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테마 2 - INTRO (0) | 2025.04.01 |
[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테마 1 - CMF (0) | 2025.03.07 |
[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테마 1 - INTRO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