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pulse/CMF(53)
-
생각을 전환하다. | Convert to Paradigm
Editor. M 지금까지 빠른 성장만을 추구 했던 기존 사고관은 큰 변화의 시기를 맞이했다. 코로나로 전세계가 잠시 멈춘 순간, 사람들은 외적인 성장만을 추구하던 기존 사회의 허상을 깨달으며 그동안 잊고 있던 삶의 본질을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빠른 성장이 만들어 낸 지금 눈앞의 문제들은 사회의 근본적 변화만이 우리 미래를 보장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며 변화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는 것이다. 2019년 그레타 툰베리로 대표되는 기후 환경 시위와 2020년 조지 풀루이드로 대변되는 인권과 다양성 보장을 갈구하는 그들의 절실한 외침은 서서히 사회 변화의 시발점이 되고 있다. 성장만을 추구하며 분별없이 받아들였던 서구 세계관에 대한 비판과 잊고 지낸 오랜 전통과 감성을 담고 있는 우리 문화에 대한..
2021.03.31 -
삶의 공간을 재구성하다. | Redefine Life Space
Editor. M 단절과 격리가 최선의 방어책이 된 우리 삶의 공간은 새롭게 정의되고 있다. 우리 삶에 있어 집은 일생을 통틀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중요한 공간이다. 집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꾸준히 등장하고 사람들의 이야기 거리로 집이 거론되는 것은 그만큼 집이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오랜 시간 사람들의 관심 대상이었던 집이 코로나 시대에 나를 보호해주는 가장 안전한 공간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사람들은 자의건 타의건 집에 오랜 시간 머물며 집을 내 취향껏 꾸미고 지인들과 공유하는 등 집을 중심으로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은 점점 익숙한 사회 현상이다. 대표적인 홈루덴스 족 MZ 세대 중심으로 확산되는 이러한 문화는 주거 공간에 대한 그들의 관심이 증가하..
2021.03.29 -
내 삶의 만족을 찾아서 | At last Satisfaction
Editor. M 초 개인화 시대, 우린 나를 만족시키는 무언가를 끊임없이 찾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 사회를 초개인화 사회로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변곡점이 되며 과거와 같은 표준화된 대량 생산과 소비 패러다임의 의미를 상실시켰다. 수 많은 개인들이 각자의 만족을 찾고 있지만 그들 사이에서도 공통된 무엇인가는 존재한다. 2021년 위드 코로나 시대, 사람들이 되찾고 싶은 공통된 것은 아마도 ‘건강’이 아닐까? 과거 바이러스의 위협으로 부터 해방된 너무나 중요했지만 간과했던 사회와 개인의 건강함 말이다. 바이러스 확산 상황에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첫번째 행동은 외출을 자재하거나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을 자주, 깨끗이 씻는 것 뿐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 수록 우린 보다 진보된 여러 방법들을 ..
2021.03.26 -
2021 Trendpulse_INFLECTION
Editor. M 코로나로 인해 미래에 대한 모든 예측이 무의미하게 된 2020년, 아직도 진행중인 그 시간 속 우리 삶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변화될지 살펴보자. 5년전, 평범했던 빌게이츠의 강연이 현실이 되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정체모를 바이러스의 공격이 우리 눈앞에 펼쳐지게 된 것이다. 개발을 목적으로 한 환경파괴 증가로 야생 동물 사이에서 존재하던 바이러스가 인간을 감염시키는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변이되어 인간을 감염시키기 시작하였다. 인간을 위해 시작된 산업화라는 일련의 활동이 이제 우리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게 된 것이다. 과거에도 흑사병과 천연두, 스페인 독감 같은 전염병으로 인류의 생존은 끊임없이 위협받아왔다. 하지만 우리 인류는 전염병 극복을 통해 사회 패러다임과 사..
2021.02.01 -
KCC Trendpulse 'INFLECTION' 2021.01.21
-
2020 CMF트렌드_3 순환 우선주의
2000년대가 소비자의 시대고, 2010년대가 가전과 사물인터넷의 시대였다면 2020년은 생물학의 시대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지속가능성이 있다. 지난 해 열렸던 국제 행사에서 빠짐없이 등장했던 이슈가 ‘지속가능성’이었는데, 이는 지난 20여년 간 꾸준히 언급되어왔지만, 2018년이 되어서야 전 세계에서 본격적으로 핵심이슈가 되었고, 이제, 매우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았다. 이제는 전 세계에 가장 영향력있는 인플루언서가 된 스웨덴의 17세 소녀 그레타 툰베리는 2018년 8월, 학교를 결석하고 1인시위를 한 것이 국제적으로 주목받으며 전 세계 청소년들의 동맹파업으로 이어졌고, 작년 9월 UN기후정상회담에서 가감없이 국가 정상들을 질타했다. 그레타가 지적한 문제는 지금까지 살아온 방식을..
2020.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