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pulse/CMF(51)
-
2021.trendpulse. CMF 트렌드_직관력의 가치(Worth of intuition)
Editor.Y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면서 인류는 기성 세계관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었다. 이는 안전에 대한 감정 상실이 초래한 결과로 내가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나에게 검증된 세상을 지향하게 한다. 업무, 모임, 여가 등 제약에 따른 공간의 정의가 변하면서 더욱 중요해진다. 활동 범위가 축소됨에 따라 가까운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이른바 슬세권이 형성되면서 퍼스널 모빌리티가 점차 중요해진다. 로컬 중심의 사회로 경제 문화가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는 이번 팬데믹 사태를 통해 라스트 마일 인프라가 더 견고해지고, 스마트 시티 및 자율주행 기술 도입에 가속도가 붙으며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컨설팅그룹인 프로스트 앤 설리번에 의하면 IT기술 발달로 구성된 스마트 시티의 모멘텀은 2025년까지 약 2조..
2021.08.31 -
2021 trendpulse. CMF 트렌드 _ 다운쉬프트(Downshift)
Editor. Y '속도가 우선시된 삶에 브레이크를 건다'는 의미를 가진 본 테마는 삶의 느슨함을 추구하는 개인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조급함보다는 한 템포 쉬며 발견하는 자아의 균형을 통해 소외와 나태함이 두려운 완벽주의, 결정 딜레마로부터 오는 고통에서 멀어지고자 하는 현상을 담았다. 과도함을 지양하고 신중한 구매를 실천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그들은 책임을 중시하는 경영 마인드와 서비스의 특별함을 두루 갖춘 브랜드를 선호한다. 기업은 온-오프라인을 병행 운영하면서 느리더라도 소비자 직접 참여를 통해 제품의 스토리를 이해하는 구매 경험의 가치를 제공한다. 가치 중심의 소비문화와 사용주기의 장기화가 확대되면서 윤리적 구매를 지향하는 풍토가 형성된 것. 완벽한 외형을 추구하기보다 내구성을 중시하는..
2021.08.17 -
2021 trendpulse. CMF 트렌드 _ 의식적 낙관주의(Conscious Optimism)
Editor. Y 지난해부터 이어진 인포데믹(Infodemic:잘못된 정보나 루머 등이 빠르게 확산하는 현상)은 다양한 관계망을 통해 사회 전반에 공포와 두려움, 분노로 일그러진 세계를 조장한다. 검증되지 않은 거짓 루머로 넘쳐난 가짜 뉴스는 우리를 혼란스럽게 했다. 위험과 부정적 사고에 더 극단적 형태로 인식하도록 설계된 인간의 사고 회로가 무의식 및 직관적 판단을 통해 우선적 반응하며 더 크게 다가오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디지털의 발달로 미디어 전염력이 더 강해지면서 국가의 권력은 상실의 과정을, 개인은 극도의 긴장과 안도를 반복하며 무너진 감정 면역 체계로 중심을 잃기 시작했다. 그러나 매몰된 감정에 머무를 수만은 없는 법. 시간이 흐르면서 불편한 정보에 대해 옥석을 가리기 시작한 우리는 이를 극..
2021.07.22 -
21/22 모빌리티 컬러 트렌드 전망
미래 모빌리티 시대로 패러다임 전환이 되면서 전기차 모델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전기차 특유의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파인한 메탈릭 컬러와 파스텔 톤 및 고채도 계열의 솔리드 컬러가 주를 이루고 있다. 3040세대가 주 연령층이였으나, 2030세대(MZ세대)타겟으로 서서히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맞추어 모빌리티 컬러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Visual Delight Neon Lime Yellow 형광은 더이상 판타지가 아니다.🌟 새로운 현실이 얼마나 희망적인지를 투영한 발상에서 시작된 컬러이다. MZ세대는 더이상 트렌드를 좋아하지 않는다. 가족과 친구, 공동체의 즐겁고 긍정적인 삶 자체를 추구하며, 그것이 핵심임을 명시하고 있다. Futro = Future + Retro 특히 Z세대는 온라인 사회와 함께 성..
2021.07.09 -
생각을 전환하다. | Convert to Paradigm
Editor. M 지금까지 빠른 성장만을 추구 했던 기존 사고관은 큰 변화의 시기를 맞이했다. 코로나로 전세계가 잠시 멈춘 순간, 사람들은 외적인 성장만을 추구하던 기존 사회의 허상을 깨달으며 그동안 잊고 있던 삶의 본질을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빠른 성장이 만들어 낸 지금 눈앞의 문제들은 사회의 근본적 변화만이 우리 미래를 보장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며 변화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는 것이다. 2019년 그레타 툰베리로 대표되는 기후 환경 시위와 2020년 조지 풀루이드로 대변되는 인권과 다양성 보장을 갈구하는 그들의 절실한 외침은 서서히 사회 변화의 시발점이 되고 있다. 성장만을 추구하며 분별없이 받아들였던 서구 세계관에 대한 비판과 잊고 지낸 오랜 전통과 감성을 담고 있는 우리 문화에 대한..
2021.03.31 -
삶의 공간을 재구성하다. | Redefine Life Space
Editor. M 단절과 격리가 최선의 방어책이 된 우리 삶의 공간은 새롭게 정의되고 있다. 우리 삶에 있어 집은 일생을 통틀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중요한 공간이다. 집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꾸준히 등장하고 사람들의 이야기 거리로 집이 거론되는 것은 그만큼 집이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오랜 시간 사람들의 관심 대상이었던 집이 코로나 시대에 나를 보호해주는 가장 안전한 공간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사람들은 자의건 타의건 집에 오랜 시간 머물며 집을 내 취향껏 꾸미고 지인들과 공유하는 등 집을 중심으로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은 점점 익숙한 사회 현상이다. 대표적인 홈루덴스 족 MZ 세대 중심으로 확산되는 이러한 문화는 주거 공간에 대한 그들의 관심이 증가하..
202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