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1. 15:09ㆍTrendpulse/Interior
20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파트에서는 개인성과 자율성이 중시되는 사회 속 다양한 유동적 변화들이 공존하는 모습에 대한 이야기로, 총 3가지의 테마를 제안한다. 그 중 이번 포스트에서는 3가지 테마 중 두 번째 테마, 건강한 공간을 담은 Spatial Therapy 를 소개한다.
일상이 된 기후위기 속 우리는 많은 성숙의 시간을 겪었다. 그 과정에서, 미래세대를 위한 희생, 투자와 같은 거창한 언어들보단, 건강한 지구에서 능동적이고 건강한 삶을 살고 싶다는 작지만 능동적인 목표가 생겼다.
① Trend Seed
변화의 소용돌이 속 가장 중요한 ‘나’를 위한 건강한 움직임을 담은 이번 테마의 트렌드 시드부터 살펴보자.
기후 일상
일상이 된 기후변화는 우리의 일상을 바꾸었다. 폭염으로 인한 히트플레이션은 우리의 경제를 뒤흔들고, 소비자 개개인의 인식 변화는 이제 그들의 의사결정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 되었다. 소비자들은 지속’가능성’이 아닌 지속성의 ‘확신’, 즉, 계획보다는 약속의 이행 여부에 주목한다.
저자극 집중 소비
의식적 소비자의 증가로 소비의 키워드도 변화했다. 도파민이 폭발하는 재미를 쫓던 소비자들은 저자극의 건강한 소비를 지향하게 되었다. 가치를 중시하는 비과시적 소비와, 공간에 대한 감도 높은 경험을 지원하는 파인스테이와 공간 큐레이션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지는 추세다.
매일의 건강
미루지 않고, 오늘 당장 해내는 소비자들의 능동적인 라이프스타일 설계도 돋보인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럭셔리 브랜드인 LVMH와 케링 그룹 모두 최근 트렌드에 대응해 리빙과 웰빙분야로의 확장을 가속화했고, 다양한 패션 하우스들은 국내 하이엔드 리빙시장을 공략한다.
② Design Issue
트렌드 시드에서 나타난 소비자의 변화를 반영한 두번째 테마의 디자인이슈들을 살펴보자.
#01 Healthy Spaces
우리를 둘러싼 공간은 건강하게 변화하고 있다. 밀라노 디자인위크는 작년부터 올해 의무적 친환경 이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박람회 최초 ISO인증을 받고, 전시공간 내 원천적안 재료나 재활용 자재를 적극 사용하는 등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건강함 열풍” 에 발맞춘 건강한 자연물 기반의 신소재들도 다양하게 제시되는 추세다. 자스민 링잉턴의 천연 다시마 스팽글, 스톤사이클링의 옥수수벽자재 콘월, 포드가 개발한 올리브나무 내장재, 맥 조던의 점토 콘크리트 등 다양한 제품이 제안되고 있다.
#02 Primal Desire
2024년의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는, 사실 드뮤어라는 단어로 설명할 수 있었다. 기존의 요란하고 억지스러운 스타일링에 피로감을 느낀 소비자들이 절제된 스타일과 본질을 강조하는 드뮤어에 공감하게 된건데, 공간에서도 이렇게 본질에 몰입한 공간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추세다.
오디움은 청음의 본질인, 부드럽고 입체적인 음향의 몰입을 위해 알류미늄과 종이, 나무 등 심미적이고도 기술적인 설계로 눈길을 끌었고,
제품에서도 원재료 그대로의 질감을 살린 Loewe의 Stellar처럼 자연스러운 소재나 촉감을 구현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03 Dark Romance
기후변화가 바꾼 일상은 우리의 라이프스타일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실제 우리가 누리고 있는 밤의 길이가 줄어들고 있는건데, 이에따라 공간에서도 회복을 주는 어둠에 대한 본능적 욕망도 커지고 있다.
특히 패션은 물론이고 인테리어분야에서도 블랙에 대한 선택이나 언급량이 증가한 모습이 보이고 있다. 이에 발맞춰 볼보가 올해 최초로 출시한 한정판, 블랙 에디션은 소재와 마감이 다른 블랙 컬러로 전체 면적을기획했다. 준비한 97대 모두 7분만에 완판될 정도로 큰 주목을 받았고, 가전에서도 매끄러운 블랙 새틴 마감으로 표현한 랜오트너의 스피커, LG전자 에어로퍼니처의 뉴컬러 에센스 그라파이트까지,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지금까지 살펴본 두번째 테마, Spatial Therapy 의 디자인 이슈들은 이렇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올해 KCC 컬러디자인센터에서 제안하는 인테리어 트렌드의 두 번째 테마를 소개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이번 테마 소개를 바탕으로, 실제 공간이나 제품에 활용할 수 있는 CMF 제안을 다룰 예정 !
KCC 컬러&디자인센터
컬러 컨설팅 문의 : 02- 3480-5370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 Copy or reproduction of this material is strictly prohibited by the copyright law.
© 2025 KCC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KCC의 인사이트로 뽑은 디자인 뉴스레터 💌
뉴스레터 구독하기!
👇 KCC컬러디자인센터 카카오톡 친구 추가 QR코드👇
'Trendpulse > Interi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테마 2 - CMF (0) | 2025.04.01 |
---|---|
[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테마 1 - CMF (0) | 2025.03.07 |
[25/26 KCC TrendPulse] 인테리어 트렌드 테마 1 - INTRO (0) | 2025.03.07 |
[ 2024 KCC TRENDPULSE ] 인테리어 트렌드 제안 (3) (0) | 2024.08.13 |
[ 2024 KCC TRENDPULSE ] 인테리어 트렌드 제안 (2) (1)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