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 컬러 유니버설디자인 주차장 안전사인 배색 연구

2021. 5. 3. 08:37ACT & RE:ACT/Architecture Trend

 

Editor. J

 

 

 

컬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안전사인 배색 연구
A Study on the Color Scheme of Safety Sign For Underground Parking Lots in Apar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1. Introduction / 연구배경 및 목적

 

컬러유니버설디자인
2017 통계청 국민건강영양조사 . 안질환검사결과  국내 색약자는 전체인구의 3.3%, 실제는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인뿐 아니라, 고령자 및 색약자 등 개인의 유전자 특성이나 눈의 질환에 의해 다양한 색각을 가지는 모든 계층을 배려한 컬러 사용을 컬러유니버셜디자인이라 한다.  최근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이 깊고 넓어짐에 따라 길찾기에 용이한 다양한 컬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배색 관계에 있는 안전사인이 모든 사람들에게 인지 가능 할 수 있도록 컬러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KCC 디자인팀에서는 최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사용된 안전 사인 배색을 조사 분석하고, 배색 사용의 유의점과 팔레트를 제시한다.

 

색 약자의 시각
비상벨을 찾을만한 긴급상황에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하여 모든 색각유형자가 구별 가능한 색채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사람들과는 다르게 적색맹(P형)이나 녹색맹(D형)에게는 여러가지 컬러를 같은 컬러로 인지할 수 있기때문에 배경색과의 배색을 고려하지 않으면 정보전달이 어렵다.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 주차장에 사용된 안전사인 배색 현황을 분석하고 색 약자 시각에서 구분하기 어려운 배색 유형을 도출하였다.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인뿐 아니라 색 약자 시각에서도 인지 가능한 배색 디자인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이 지하주차장 안전사인을 인지하는데 어려움을 해소하고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2. Method / 연구 대상 및 절차

 

연구 대상
최근 3년 내, 주택부문 도급순위 10순위 내 대형건설사, 서울_수도권 내 준공한 300세대 이상 신축아파트 42개 현장

 

연구 분석 기준 및 방법
(1) 문헌고찰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지하주차장 비상벨 배색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현재 지하주차장의 컬러 사용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 중인 비상벨 사인 컬러 특징과 배색 방법을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2) 컬러 데이터의 일관된 분석을 위해 Munsell Converter 3.0 프로그램을 통해 먼셀 컬러 코드 형식 색상(hue), 명도(Value), 채 (chroma)로 분류, 통일하였다.이를 한국컬러유니버셜디자인협회에서 지정한 LH CUD 가이드라인* 기준으로 명도차 3이상은 적합, 3이하는 부적합으로 분석하였다.
(3) 색상 사용에서의 유의점 도출 기준은 D형(녹색약자) 시각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색약자 중 제 2색약 이 58%이고, 제 2색맹이 13%이며 이 중 D형 (녹색약자)가 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7년 통계청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안질환검사 결과)
(4) 가이드라인 수치로만의 판단 오류를 보완하기 위해 분석 사진 및 컬러 샘플 데이터를 색약자 시각에서의 체험을 돕는 어플리케이션 “Kazunori Asada 색각시뮬레이터”*로 D형 색약자 시각으로 보여지는 이미지로 변환, 추가 실험자 2명과 함께 적합성을 보완하였다.  

색각 시뮬레이터 APP

 

3. Conclusion and Proposal / 결론 및 제안

안전사인 배색 사용 현황
본 연구 조사 결과 비상사인 컬러는 총 22개로 집계되었다. 한국국가기술표준원의 공공디자인 색채표준가이드에서 주의를 의미하는 “적색 (7.5YR4/14)”과 유사한 고채도 R계열 컬러가 전체 비상 사인 컬러 중 41%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흰색, 검은색과 같은 무채색에 가까운 Y계열 컬러가 32%로 사용되었으며 조닝별 유색 강조색을 비상사인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 조사 결과 비상사인 컬러는 총 22개로 집계되었다. 한국국가기술표준원의 공공디자인 색채표준가이드에서 주의를 의미하는 “적색 (7.5YR4/14)”과 유사한 고채도 R계열 컬러가 전체 비상 사인 컬러 중 41%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흰색, 검은색과 같은 무채색에 가까운 Y계열 컬러가 32%로 사용되었으며 조닝별 유색 강조색을 비상사인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안전사인 배색 유형 및 명도차 분석
본 분석을 통해 나타난 전체 87개 배색의 평균 명도차는 2.67로 CUD 기준인 명도차 3 대비 다소 낮게 나타났다.
사용된 배색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배색유형 1] 고채도 빨강 + 밝은 무채색 유형
고채도 빨강과 흰색에 가까운 밝은 무채색 (이하 흰색으로 표기) 배경색으로 이루어진 1번 배색 유형은 전체 배색의 약 11%를 차지한다. 평균 명도 차이가 CUD 기준인 3보다 높은 4.74로 일반인 (C형)뿐 아니라 녹색 약자 (D형) 시각에서도 명확하게 인지되는 유형이다.

[배색유형 2] 흰색 + 조닝 유채색 유형 
백색에 가까운 밝은 무채색 사인과 다양한 유채색 배경으로 이루어진 배색 타입으로 전체 배색의 약 28%이다. 평균 명도 차이가 3.88로 CUD 기준 대비 높은 편이나, 함께 사용하는 조닝 별 유채색의 명도가 낮을 경우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배색유형 3] 고채도 빨강 + 조닝 유채색 유형
고채도 R계열 사인과 다양한 조닝 유채색이 배경이 된 배색 유형이다. 총 53개 배색으로 전체 배색의 약 61%로 최근 다양해진 주차장 컬러만큼 많은 조합의 배색이 나타났다. 평균 명도 차이가 1.73으로 CUD 기준 명도 차이 3 대비 낮은 편이다. 또한 CUD 기준 명도 차이 3 이하의 부적합 배색이 44개로 전체 비중의 83%로 나타났다. 즉 녹색 약자 시각에서 구분되지 않을 확률이 높은 배색 유형이다.

 

배색 유의사항 및 개선 방안 
최근 다양해진 지하주차장 컬러 사용 트렌드에 따라 [배색유형 3]은 녹색 약자 시각에서 가장 인지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 빈도가 높다. 따라서 CDU를 고려한 주차장 안전사인 배색에서 주의해야 할 포인트와 개선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다. 안전 사인색인 고채도 빨강은 녹색 약자 시각에서 중명도 이하의 어두운 갈색톤으로 인식된다. R-YR-Y-GY 계열, 중명도 (명도5) 이하 배경색 또한 갈색톤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두 조합으로 배색할 경우 녹색 약자에게 식별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G-BG-B-PB-P-RP 계열 배경색은 청색계열로 인식되기 때문에, 갈색톤으로 보이는 고채도 빨강색 사이와는 구분되어 보이지만, 명도 4 이하의 어두운 배경색과는 식별이 어려우므로 배색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고채도 빨강색의 안전사인과 명도 5 이하의 배경색 조합으로 배색할 경우 녹색 약자 시각에서 식별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음으로 사인 색과 배경색 사이에 무채색(흰색)으로 배경을 추가하거나 테두리를 둘러준다. 또는 안전사인 컬러를 노랑 계열로 바꾸어 명도 차이를 크게 준다.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안전사인 추천 배색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본 연구를 계기로 디자인과 색채 분야 뿐 아니라 여러 사회 분야에서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필요성이 더욱 주목받길 바라며, 모든 사회구성원이 평등하게 배려될 수 있는 공공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KCC가 제안하는 컬러유니버셜디자인을 적용한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안전 사인 배색 가이드

*  KCC 추천 자재

 

* 컬러유니버셜디자인을 적용한 지하주차장 컬러개발 특화 협업 문의: jsy81@kccworld.co.kr

 

 

 

 

🎉 KCC의 인사이트로 뽑은 디자인 뉴스레터 🎉

 

KCC컬러디자인센터 카카오톡 친구 추가하고

가장 먼저 소식을 받아보세요💌🥳

 

 

KCC컬러디자인팀의 다른 이야기도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친구 추가 ➡️ 뉴스레터 구독하기!

 

 

 

🔻 KCC컬러디자인센터 카카오톡 친구추가🔻

 

 

 

 



 

 

 

References

  1. Choi, S. J. (2008).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and Design for Underground Parking lots in Apartment complex. Unpublished Master Thesis. University of Busan. 
  2. Cho, S. I. (2007). Research on the Result of Applying Public Setting on Apartment Color Design. Unpublished Master Thesis. University of Hongik
  3. Jeong, Y. S. (2009). A Study on Shared Housing Compound  Underground Parking Lot Plan - With Emphasis on Residents Using Behavior -. Unpublished Master Thesis. University of Chonnam.
  4. Jung, D. U. (2012). Analysis of public visual medium in a view of color universal design. -Focused on visual perception of color blind people. Unpublished Master Thesis. University of Puk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