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pulse(115)
-
18/19 CMF 트렌드_1_변화의 동인
기존의 체제에 불만을 갖고 무엇인가 바꾸어보려는 움직임은 한국 뿐 아니라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났습니다. 수 년간 지속된 낮은 경제 성장률로 청년들은 만성적인 경제적 무기력을 경험하였고,노력해도 계층상승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은 기성세대와 사회에 대한 불만을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그 동안 당연하게 생각해왔던 ‘규범’에 의문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이러한 반발이 행동으로 드러난 것이 지난 1년 간 익히 보고 경험해왔던 사회적, 정치적 뉴스들입니다. 스마트폰이 가져온 ‘연결성’은 사람들이 의사소통 방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사람들의 변화된 의사소통 방식은 불리한 사회에 대항하여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시켰고, 평범한 사람들이 자기 의견을 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행동하는 문화로 발전하게 하였..
2018.01.18 -
18/19 트렌드 메인테마 _NEO ETHICS;새로운 윤리
2016년에서 2017년은 예능이나 영화가 빛을 못 볼 정도로 전 세계가 정치적으로 매우 중대한 해였습니다. 먼저 우리는 엘리트의 추락을 보며 기존의 사회 시스템에 대해서 많은 의문을 갖게되었습니다. 대통력 탄핵과 글로벌 기업 총수의 구속은 한국 정치와 기업에 일반화되었던 부패와 제왕적 리더의 종말을 고하였습니다. 영국판 "세월호"라고 불린 영국 "그랜펠타워 화재"는 주민들이 수 차례 안전문제를 제기하였지만정부의 안전불감증에 의한 예견된 참사로 지적되었습니다. 햄버거병과 살충제 달걀, 생리대 발암물질 등 생활 필수품과 먹거리 안전성 문제 또한 국가와 제도에 대한 불신을 야기하며 논란이 되었습니다. 그 중 "헬조선"으로 대변되는 젊은이들의 사회에 대한 불만과 체념의 정서는 우리 모두가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
2018.01.18 -
18/19 KCC 트렌드 세미나 참석신청 마감
19/18 KCC 트렌드 세미나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본 세미나 참가신청은 조기 마감되었습니다.
2017.11.17 -
17/18 하우징 트렌드_3_Epicene Classic
(본 게시글은 2017/18 KCC 하우징 트렌드 세미나에서 발표되었던 내용을 정리한 것임) - BACKGROUND - 사회적 인정, 그리고 프레스티지(prestige) 한 때, 럭셔리의 가치는 변하지 않는 전통성에 있었다.그러나 지금의 럭셔리는 그 정의가 무너지고 있으며 누구보다도 빠르게 변화의 선두에 서있다. [새로운 자산가의 등장] KB금융지주연구소, 2016 한국 부자보고서 | 스위스의 투자 은행, 크레딧 스위스 KB금융지주연구소의 2016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는 금융자산 200억원 이상의 초고자산가는 800명으로 4년 전보다 거의 2배로 불어났으며스위스의 투자은행 Credit Swisse에 따르면세계적으로도 고액자산가는 매 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의 젊은 청년가의 등장이 두드..
2017.03.10 -
17/18 하우징 트렌드_2_Organic Minimal
(본 게시글은 2017/18 KCC 하우징 트렌드 세미나에서 발표되었던 내용을 정리한 것임) - BACKGROUND - 몸과 마음이 쉬는 안식처 장기화된 경제침체는 삶의 가치 기준을 급격하게 변화시켰다. 고속 성장 시대에는 사회적인 성공과 경제적 성취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았지만장기화된 저성장 시대에는 개인이 아무리 노력해도 무언가를 이루기는 여간 쉽지 않다.이 지점에서 사람들은 좌절감을 느끼고 시선을 안으로 돌리게되는 것이다.과연 우리는 무엇을 위해 쉼없이 일하고 있는가.인맥주의에 대한 반작용,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강박.. 정치적 난기류와 sns로 야기되는 네트워크의 복잡성에 염증을 느낀 사람들은 이의 대척점에 있는 단순함, 고독력에서 가치를 찾기 시작했다. [단순함과 진정성] Morioka Shot..
2017.03.10 -
17/18 하우징 트렌드_1_Ruleless Mixture
(본 게시글은 2017/18 KCC 하우징 트렌드 세미나에서 발표되었던 내용을 정리한 것임) - BACKGROUND - 남다른 취향을 드러내는 SNS 있어빌리티는이제 허세가 아니라 전략임을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집에서 이뤄지는 활동을 SNS에 기록하면서 자연스럽게 집을 공개하고, 타인의 집을 쉽게 엿볼 수 있게 되자 집은 이제 패션처럼 자신을 드러내는 자기표현의 수단이 되었다. [정답을 거부하는 문화] Zion.T | G-Dragon | Show Me The Money | BeWhy 디지털언어를 몸으로 익힌 이들은 기성세대의 가치관에 선을 긋고, 공식으로 여겨지는 틀을 거부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힙합문화이다. 현재 힙합의 주요소비층인 10대에서 20대초반이 사회중심세력으로 성장할수록..
2017.03.10